코로나19의 장기화로 도민은 물론이고 전북경제도 좀처럼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에서도 올해 들어 전북의 미래를 밝게 할 희소식이 잇따라 들려와 희망을 품게한다. 조금만 힘을 합쳐 이 위기를 넘으면 미래를 향해 웅비하는 전북의 모습이 그려진다.
하지만, 아직까지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현안이 있어 걱정스럽다. 바로 완주와 전주를 중심으로 전북 혁신도시에 국민연금 기금운영본부를 기반으로 글로벌 자산운영중심의 금융도시 지정이다.
지난 2019년 4월 금융위원회의 보류 결정을 근거로 지정을 위한 결정적인 방안이 있음에도 현재 전라북도는 ‘언 발에 오줌 누기’식의 대책만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금융 중심도시 지정을 위해 금융생태계 조성의 핵심 인프라인 전북금융센터 건립이다.
전북도는 전북혁신도시 내 금융혁신클러스터 부지에 전북금융센터를 건립하기로 확정했다. 규모는 지상 11층, 지하 2층의 연면적 2만5000㎡다.
이 사업은 당초 전북도가 자체재원을 투입해 전북개발공사 보조사업 방식으로 추진했으나, 사업추진 주체로서 개발공사의 타당성 부족 등 여러 이유를 들어 전북신용보증재단에서 건립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사업 규모도 당초 2,500여억 원에서 1,200억 원으로 반 토막 이상 줄어든 가운데 3년간 질질 끌더니 결국 내놓은 게 11층짜리 건물이 고작이다.
전북도가 얼마나 근시안적이고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으로 11층 규모의 전북금융센터가 금융도시 지정의 초석이 될 수 있다는 게 가당한가?
전북금융센터는 혁신금융 중심도시 기반구축이 될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되어야 한다. 랜드마크가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전북금융센터는 금융도시란 점을 상징해야 한다.
반면, 현재 완주·전주·전북혁신도시는 어떠한가? 이곳의 아파트는 대부분 30층에 육박하고 45층짜리 주상복합 아파트도 들어서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1층짜리 전북금융센터를 건립해놓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도시로 지정받는다는 논리는 궁색할 수 밖에 없다.
국제시설 급이어야 할 전북금융센터가 주변 건물과 비슷한데다 일반 건물과도 구별이 안될 것이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북 이전에 금융중심지로 지정받았던 서울과 부산도 국제금융센터를 그 지역의 랜드마크란 위상에 걸맞게 건립했다.
서울은 55층, 부산은 63층 규모로 높이가 300m에 달하며, 두 건물 사무공간에는 호텔과 쇼핑몰, 영화관, 오피스텔, 아파트 등이 들어서 있다.
이 도시의 금융센터는 국내와 세계 각지의 금융 관련 업무와 회의 등을 수행하면서 금융도시의 활성화를 선도하고 있다.
더욱이 1,000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국민연금기금은 나날이 조직 규모가 커져 4월 초에는 제2 사옥이 준공되기까지 했다.
또한, 그간 전북도가 사업 규모 축소의 이유로 민자 유치의 어려움을 들었지만 적지 않은 금융기관과 건설사들이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상당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전북혁신도시에 들어설 전북금융센터의 규모가 50층 이상이 돼야 할 이유다.
인구 40만의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는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회장으로 있는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가 열릴 때면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주주들이 모여든다.
비행기 운항횟수도 폭증하고, 숙소 잡기는 하늘의 별 따기라고 한다. 그럼에도 도시의 웅장하게 솟은 랜드마크 격의 빌딩들이 이를 충분히 수용한다.
반면, 전북혁신도시에 금융생태계 조성을 위해 금융 관련 기관들이 이전하였으나 철수를 검토한다는 사실에 더욱 충격이다. 사실 이것은 제도의 문제이자 신뢰의 문제이기에 근간이 흔들리고 있는 현실이다.
전북금융 중심도시가 도민의 염원대로 지적의 쾌거를 이룩하고 향후 이에 맞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금융중심지 여건 성숙을 위한 전략과 국제금융센터의 규모를 어떻게 해야 할지 지금 지혜를 모아야 한다.
|